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폐경 이행 후기부터 불면증 악화 가팔라져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4-22 10:54:08
기사수정
  • 최근 1년이내 60일 이상 무월경 시작 때부터 수면의 질 저하 … 스마트폰 줄이기, 카페인 피하기 실천

갱년기 여성이 겪는 다양한 신체적·정신적 증상 중 수면의 질 저하는 우울, 불안, 기분장애, 인지기능 저하뿐만 아니라 심혈관 및 대사 질환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서구사회를 중심으로 이뤄져 한국 중년 여성의 수면 질 변화에 대한 이해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이에 김계현 성균관대 강북삼성병원 산부인과 교수, 류승호 헬스케어데이터센터 교수, 장유수 코호트연구소 교수, 장윤영 박사팀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이 병원 종합건진센터를 방문한 42~52세 여성 약 5000명을 대상으로, 2023년까지 수면의 질을 반복 측정해 폐경 이행기에 따른 수면 질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폐경 단계를 이행 단계에 따른 분류법 (STRAW+10)에 따라 △폐경 전 △폐경 이행 전기 △폐경 이행 후기(최근 1년 이내에 60일 이상의 무월경을 한 차례 이상 경험한 경우) △폐경 후(최근 1년간 월경이 전혀 없었던 경우) 등 4단계로 구분하고,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수면 평가 지표인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를 활용해 각 단계별 수면 질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연령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폐경 이행 후기부터 주관적인 수면 질, 수면에 드는 시간, 수면 중 각성 빈도 등이 뚜렷하게 악화되는 양상이 확인됐다. 

   

김계현 교수는 “이번 연구는 갱년기 여성들의 수면건강 관리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며 “규칙적인 수면 시간 유지, 조용하고 어두운 수면 환경 조성, 오후 및 저녁 시간 카페인과 음주 피하기, 잠들기 전 스마트폰이나 TV 사용 줄이기,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명상 등으로 긴장을 푸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방법에도 불구하고 수면 문제가 지속된다면, 전문가 상담을 통해 호르몬 치료나 진료를 받아보는 게 좋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의 ‘갱년기여성 만성질환 위험 요인 규명을 위한 전향적 연구’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2025년 1월 국제 정신건강 분야 학술지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정동장애저널 또는 기분장애저널, IF=4.9)에 게재됐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정관장몰
차병원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한국다케다제약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
근로복지공단 순천병원
하루 동안 이 창을 다시 열지 않음
한양대의료원
하루 동안 이 창을 다시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