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아치온콜로지(Arch Oncology)의 면역항암제 ‘AO-176’을 재발성 또는 불응성 다발성골수종 희귀의약품으로 지난 1월 22일(현지시각) 승인했다. 2월 8일엔 유레카테라퓨틱스(Eureka Therapeutics)가 간세포암종(HCC) 치료제로 개발을 진행 중인 ‘ET140203’ 및 ‘ECT204’를 희귀의약품으로 지정했다.
희귀의약품은 미국에서 20만명 미만의 환자가 존재하는 희귀질환의 치료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지정제도로 세금감면과 임상시험 행정처리 비용 면제, 7년의 독점 발매기간 보장 등 혜택을 입게 된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브리스번(BRISBANE) 및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 근거를 둔 아치온콜로지는 다발성골수종에서 AO-176으로 1/2상 임상시험( NCT04445701)을 진행 중이다. 과거에 최소 3차례의 치료에도 불구하고 골수종이 진행된 약 102명의 성인이 등록될 예정입니다.
1상에서 안전성과 용량 제한 독성을 평가한다. 1상에서 적정 용량이 설정되면 2상에서 얀센의 ‘벨케이드주’(Velcade 성분명 보르테조밉 bortezomib) 및 스테로이드 제제인 덱사메타손(dexamethasone)과 병용요법을 평가하게 된다.
아치온콜로지의 임상개발 담당 수석 부사장인 아미트 아가월(Amit Agarwal) 박사는 “미국에서 매년 3만5000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다발성골수종에 대한 완치 치료제가 없고 1차 치료제로 관해가 유도될 수 있지만 재발성 또는 불응성 다발성골수종 환자에 대한 상당한 미충족 의료수요가 남아 있다”며 “AO-176은 정상 세포에 대한 결합이 낮고 적혈구에 대한 결합이 미미하고, 종양에서 발견되는 산성 환경에서 CD47에 대한 결합이 강화되며, 프로그램화된 암세포 또는 염증세포에서의 면역원성 세포사멸 기전이 유도된다”고 밝혔다.
AO-176은 CD47 단백질의 활성을 차단해 암세포와 싸우는 면역계의 능력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단일클론항체다. 면역세포 중 대식세포는 일반적으로 암세포를 잡아먹지만 CD47은 대식세포의 수용체에 결합해 ‘나를 먹지 마세요’라는 신호를 보내 종양이 면역감시를 피할 수 있도록 고발현 한다. AO-176은 차세대 항 CD47 항체로 동일 계열 다른 약제에 비해 더 나은 안전성과 유효성 프로파일을 가질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유레카테라퓨틱스의 류청(Cheng Liu) 대표
‘ARYA-1’ 및 ‘ARYA-2’ 임상은 간암세포에서 발견되는 알파태아단백질(AFP) 펩타이드/HLA-A2 복합체를 표적으로 작용하는 ‘ET140203 ARTEMISⓇ T세포’를 투여한다.
ET140203은 환자로부터 T세포를 확보해 유전자 변형을 거쳐 유레카테라퓨틱스가 독자적으로 보유한 ‘ARTEMISⓇ’ 세포 수용체가 발현되도록 한 뒤 환자들에게 다시 주입하는 치료제이다. T세포 수용체를 가진 유사항체로서 T세포가 간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유도한다.
‘ARYA-3’ 임상은 간암세포 표면에서 나타나는 글리피칸3(Glypican 3, GPC3) 단백질을 표적으로 작용하는 ‘ECT204 T세포’를 평가한다. GPC3 단백질은 간세포암종 세포의 70% 이상에서 발견되는 항원이다.
유레카테라퓨틱스의 류청(Cheng Liu) 대표는 “ET140203 및 ECT204가 간모세포종(hepatoblastoma, HB), 간세포암종 소아환자 치료를 위한 ‘패스트트랙’ 지정과 간모세포종 치료용 ‘소아희귀질환 치료제’(RPDD) 지정을 받은 후 불과 몇 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희귀의약품 지정까지 받게 돼 기쁘다”며 “그만큼 이들 질환에 미충족 의료수요가 상당함을 의미하며 승인 당국, 임상시험 진행자, 환자 및 가족들과 긴밀히 협력해 임상시험을 빠르게 진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