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뇨병 환자, 신장내과 진료 시작하면 신장 기능 안정화된다
-
서울대병원, 다중자세 X선 사진 기반 AI로 요추협착증 진단 성능 향상
-
SCL, 경도인지장애 조기선별용 혈액 바이오마커 Aβ42 검사 국내 최초 출시
-
사망률 두 배 높은 ‘고심박수 뇌경색’ 베타차단제 복용하면 생존율 향상
-
선천적인 무릎 내반 정렬, 심할수록 관절염 중증도와 밀접한 연관
-
고려대 백신혁신센터, 신증후군출혈열 임상시험용 mRNA백신 개발 청신호
-
암 생존자에 대기오염 노출은 골다공증 위험 높여
-
스텐트 시술 관상동맥환자, 평생 유지요법으로 클로피도그렐이 아스피린보다 우수
-
정찬권·이현 서울성모병원 병리과 교수진, 정밀진단 위한 NTRK 유전자 융합 진단 알고리즘 개발
-
AI로 대장암 간전이 환자의 예후와 생존율 정밀 예측
-
이준엽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과기부 ‘우수신진연구’ 선정
-
‘칼륨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P-CAB)가 PPI보다 헬리코박터 제균 효과 높아
-
후방십자인대 재건술, 보존적 치료보다 인공슬관절 수술 가능성 22% 낮아
-
외상성 뇌손상 경험한 청장년층, 뇌졸중 위험 1.9배 높아져
-
이홍섭 부산백병원 교수, 혈액으로 크론병·궤양성대장염 분별법 개발
-
서울성모병원, 다학제 연구로 희귀 심장 아밀로이드증 진단 성공
-
서울대병원, 신속거치 혁신 대동맥판막치환술 400례 달성 … 정밀·효율·신속, 합병증 적고 혈역학 우수
-
자궁내막암, ‘최소침습수술’ vs ‘개복수술’ … 생존율 차이는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