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석호, 최현진 교수팀,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제시
-
자궁내막증 진단받은 환자 10년 전 대비 2배 증가, 40대가 최다
-
-
위산분비억제제 PPI 복용땐 심뇌혈관질환 위험 높이지 않는다
-
점액성 위암 , 일반항암제 효과 떨어지고 면역항암제 효과 탁월
-
아플수록 긍정적으로 살자! 낙관주의자, ‘질병’ 치료에 도움
-
대사이상 중증도 높을수록 간 섬유화 위험 증가한다
-
-
군살에 의한 부분비만, 그 원인은 당신의 자세에 있다?
-
김정훈·조성우 교수 연구팀, 스마트폰 녹음 수면무호흡증 진단하는 기술 개발
-
아주대병원 인공지능(AI)을 이용해 ‘구강암’ 진단한다
-
때 이른 물놀이 ‘외이도염’ 주의... 방치했다 난청온다
-
현대바이오, FDA에 원두(猿痘) 치료제 패스트 트랙 신청한다
-
엄마는 신경질, 아빠는 무기력… 영양제로는 해결 못한다
-
남성호르몬 수치 낮으면 빈혈 위험성 2배 높다
-
삼성서울병원 이식외과 연구팀, 재발 간암도 ‘복강경 수술
-
국민의 76%, 안락사 혹은 의사 조력 자살 입법화에 찬성
-
상지 림프부종 환자의 림프관 주행경로 세가지 있다
- 많이 본 뉴스
-
-
1
국립암센터 및 관련 학회, 45~75세에 10년 주기로 대장내시경 권고
-
2
허미나 건국대병원 교수, 세계병리검사의학연합회 차기회장 선출 … 2029년 임기 시작, 2025년부터는 차기 업무 수…
-
3
우정바이오, 오픈이노베이션 바이오 플랫폼 성과 가시화 … 크로스포인트, 동아ST, 카나프 등과 협업
-
4
입센코리아 ‘아이커보정’(엘라피브라노) 원발성 담즙성 담관염(PBC) 치료제 국내 승인
-
5
GC녹십자, ISTH 2025서 ‘면역글로불린 혈전’ 연구 발표 … ‘알리글로’ 4~25도서 점도 감소, 혈전색전증 위험서 안…
-
6
휴온스엔, ‘메리트C’ 올리브영 온라인몰 입점 기념 프로모션 … 21일 고함량 3000mg散 할인 판매
-
7
폭우 끝나니 말라리아 감염 주의보 … 매개모기 비율 4주 연속 증가세
-
8
항바이러스제(2) … B형간염, C형간염, 에이즈, 인유두종바이러스, 코로나19 치료제 & 인터페론
-
9
삼성바이오에피스, 美 해로우社와 안과질환 바이오시밀러 2종 미국 위탁판매 파트너십 계약
-
10
국내 자생 참당귀·연교, 미국생약규격집 최초 등재 … 관련 제품 해외수출 기대
- 최신뉴스
-
-
세브란스병원, 대사이상지방간질환 환자의 간암 위험 예측 모델 검증
-
유럽연합, 식품에 금지된 이산화티타늄(TiO₂) 의약품에는 사용 결정
-
동화약품, 차 type 감기약 ‘판콜에이치 건조시럽’ 출시 … 종합감기약에 리포플라빈 강화
-
JW중외제약 ‘헴리브라’, A형 혈우병 환자 운동 중 출혈 예방 효과 입증
-
장기 흡연자 ‘소세포폐암’ 발병률 압도적” … 담배소송의 근거 확충
-
휴메딕스, 애보브테라퓨틱스와 ‘리틀부스터’ 독점 공급 계약 … 식물유래 엑소좀, 폴리뉴클레오티드 성분
-
성장기 다양한 감각 자극과 활발한 사회적 상호작용, 뇌 발달에 막대한 기여
-
베링거인겔하임, HER2 변이 비소세포폐암 2차 치료제 ‘허넥시오스’(존거티닙) FDA 가속승인
-
경희대병원장에 김종우, 경희의료원 대외협력위원장에 이형래, 경희대치과병원장에 김형섭
-
정소향·윤혜연 가톨릭대 안과 교수팀, ICL수술의 각막내피밀도 감소 초래 위험인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