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BMS, '옵디보·여보이' 간세포암 1차요법 FDA 정식 승인
  • 주경준 기자
  • 등록 2025-04-14 03:24:02
  • 수정 2025-04-14 03:34:44
기사수정
  • CheckMate-9DW 기반...3월 유럽승인 이어 미국 조기승인 받아

BMS의 면역항암제 옵디보(Opdivo/니볼루맙, Nivolumab)와 여보이(Yervoy/이필리무맙, Ipilimumab) 병용요법이 FDA으로부터 절제 불가능하거나 전이된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 환자 1차 치료제로 정식 승인을 받았다.


두약물의 조합은 3월 유럽에서 먼저 동일적응증으로  정식승인된데 이어 FDA에서도 간세포암 2차요법 가속승인에 이어 1차요법 전진배치와 함께 정식승인을 함께 받게 됐다.


승인은 전 세계 환자 66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CheckMate-9DW  3상(NCT04039607) 연구결과를 근거로 이뤄졌다. 해당 임상은 이전에 전신치료를 받지 않은 절제 불가능하거나 진행성 간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옵디보·여보이 병용요법을 연구자가 선택한 표준 티로신키나제 억제제(TKI) 단독요법인 렌비마(Lenvima/렌바티닙, Lenvatinib) 또는 넥사바(Nexavar/소라페닙, Sorafenib)과 비교했다.


임상 결과 병용요법 투여군의 전체생존기간(OS) 중앙값은 23.7개월로, 대조군 20.6개월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 사망 위험은 21% 감소한 것으로 평가됐다.(HR=0.79), 치료 3년차 시점의 생존률은 옵디보·여보이 병용요법에서 38%, 비교군에서는 24%였다.


객관적 반응률(ORR)은 옵디보·여보이 병용군에서 36.1%였으며, 대조군의 13.2%(95% 신뢰구간 9.817.3%) 대비 3배가까이  높았으며 완전반응률은 병용군 6.9%, 비교군 1.8%였고, 부분반응률은 각각 29.3%와 11.4%였다.


또한 탐색적  분석결과 반응지속기간(DOR) 중앙값은 병용군 30.4개월, 비교군은 12.9개월로 관찰됐다. 


이번 FDA 승인으로 옵디보·여보이 병용요법은 2020년 2차 치료제로 받은 가속승인을 정식 승인을 통해 1차 치료제로 확대하게 됐다. 기존 가속승인은 CheckMate-040 임상(1·2상)을 근거로 이뤄진 바 있다.


BMS는 “이번 승인으로 환자에게 장기 생존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1차 치료옵션이 마련됐다”며 “간암 환자에게 면역항암 병용요법의 치료표준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CheckMate-9DW 연구에 참여한 아이우 루스 허(Aiwu Ruth He) 박사는 “간세포암은 지난 40년 간 발병률이 3배 증가했지만, 예후는 여전히 좋지 못하다”며 “이번 병용요법은 깊은 반응을 유도하고 장기 생존의 기회를 제공하는 치료법으로서, 강력한 비교군을 상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우월성을 입증한 유일한 면역요법 기반 임상”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간세포암 1차 치료제로는 로슈의 티쎈트릭(Tecentriq/아테졸리주맙, Atezolizumab)과 아바스틴(Avastin/베바시주맙, Bevacizumab) 병용요법이 2020년 5월 미국에서 승인받았고, 아스트라제네카의 임핀지(Imfinzi/더발루맙, Durvalumab)와 트레멜리무맙(Tremelimumab) 병용요법이 2022년 10월 승인됐다.


키트루다가 렌비마와 병용요법으로 간세포암 1차요법 도전이 실패한  가운데  면약항암제 매출기준 2~4위간의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게  됐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애브비
아주대병원
화이자
부광약품
한국다케다제약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