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바이엘, 암종불문 TRK 억제제 '비트락비' FDA 정식승인 전환
  • 주경준 기자
  • 등록 2025-04-14 03:06:44
기사수정
  • NTRK 융합 양성 고형암 성인·소아 적응증… ORR 60%·반응지속기간 43.3개월

FDA는 바이엘의 TRK 억제제 비트락비(Vitrakvi/라로트렉티닙, Larotrectinib)에 대해 암종불문 고형암 치료제로 10일 정식 승인했다. 


대상은 NTRK(Neurotrophic Tyrosine Receptor Kinase) 유전자 융합을 보유하고 있으나 획득 내성 돌연변이가 없는 고형암 환자이며, 국소진행성, 전이성 이거나 수술이 심각한 기능장애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고, 대체 치료법이 없거나 기존 치료에 실패한 경우다.


이번 정식승인은 2018년 11월 동일 적응증으로 가속승인을 받은 이후 6년 만이다. 승인 근거는 3건의 단일군 다기관 임상시험에서 도출된 데이터로, 각각 1상 LOXO-TRK-14001(NCT02122913), 1·2상 SCOUT(NCT02637687), 2상 NAVIGATE(NCT02576431)이다.


통합 분석된 전체 339명의 환자 중 객관적 반응률(ORR)은 60%였으며, 이중 완전반응(CR)은 24%, 부분반응(PR)은 36%였다. 병리학적 완전반응은 5%에서 확인됐다. 반응지속기간(DOR) 중앙값은 43.3개월로, 장기적 치료효과가 입증됐다.


2023년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발표된 장기 추적분석 결과도 정식승인을 뒷받침한다. NTRK 융합 양성 고형암 환자 180명에서 ORR은 57%였고, 반응지속기간은 동일하게 43.3개월이었다. 24개월 시점 반응 지속률은 66%, 48개월 시점은 48%로 확인됐다.


무진행생존기간(PFS) 중앙값은 24.6개월, 전체생존기간(OS) 중앙값은 48.7개월이었다. 24개월 시점 PFS는 51%, 48개월은 39%였고, OS는 각각 69%, 51%로 나타났다. 환자 대부분은 하루 2회, 100mg의 라로트렉티닙을 경구 투약받았다.


임상에 포함된 주요 고형암 유형은 폐암 15%, 연부조직육종 15%, 갑상선암 14%, 타액선암 13%, 대장암 12% 순이었다. 원발 병소가 중추신경계인 경우는 제외됐다.


라로트렉티닙은 TRKA, TRKB, TRKC 단백질을 암세포에서 억제하는 선택적 TRK 억제제로, NTRK1, NTRK2, NTRK3 유전자 융합에 의해 형성되는 키메라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는다. 이 단백질은 종양 성장과 생존을 유도하는 주요 발암 기전으로, 해당 경로 차단을 통해 항종양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반응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으로 관리 가능했으며, 20% 이상에서 AST·ALT 상승, 빈혈, 저알부민혈증, 근골격계 통증, 백혈구감소증, 림프구감소증, 피로, 구역, 설사, 변비, 복통, 발열, 발진, 어지러움 등이 보고됐다. 중증 이상반응으로는 중추신경계 독성, 간독성, 골절이 포함됐다.


찬드라 고다(Chandra Goda) 바이엘 미국 비트락비 브랜드 총괄은 “이번 정식승인은 NTRK 융합 고형암 치료에서 중요한 이정표로, 소아 및 성인 환자 모두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안드레아 페리스(Andrea Ferris) LUNGevity 재단 대표는 “TRK 억제제 정식승인은 치료대안이 부족한 환자에게 의미 있는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후속 TRK 억제제 개발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비트락비는 NTRK 유전자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최초의 암종불문 치료제로, FDA로 부터 TRK 억제제 중 처음으로 성인 및 소아 고형암 적응증을 확보한 약물이다.  이후 2019년 출시된 로슈의 로즐리트렉(Rozlytrek 엔트렉티닙 Entrectinib)과 함께 경쟁하며 NTRK 융합 암 치료제 영역을 선도하고 있다.


바이엘은 지난 2019년 엘리 릴리에 인수된 록소온콜로지(Loxo Oncology)로부터 라로트렉티닙의 글로벌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확보해 상용화한 품목이다. 국내에는 2020년 식약처 허가를 받아 출시됐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애브비
아주대병원
화이자
부광약품
한국다케다제약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