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엘케이 ‘경막하 출혈 검출 AI 솔루션’ 美 FDA 승인
뇌졸중 AI 전문 기업 제이엘케이는 5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CT 기반 뇌 경막하 출혈(Subdural Hemorrhage, SDH) 검출 솔루션에 대한 의료기기 승인(FDA 510(k))을 받았다고 밝혔다.
SDH는 뇌를 둘러싼 경막 내부 혈관이 외상으로 파열되면서 발생하는 응급질환으로,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CT 영상에서 출혈 부위가 어두운 특성 때문에 기존 AI 기반 진단 알고리즘은 높은 정확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제이엘케이의 SDH 솔루션은 하버드대학 병원 등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다양한 인종과 지역에서의 임상 환경에 맞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이 솔루션은 응급 외상 환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제이엘케이는 이 AI 솔루션이 기존 판독 속도보다 약 30% 이상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며, 응급 뇌출혈 환자의 치료 골든타임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FDA 승인은 제이엘케이의 미국 시장 확장을 위한 중요한 첫걸음으로, SDH 솔루션은 뇌출혈 유형에 대한 편차 없는 높은 검출 성능을 제공한다. 이 솔루션은 급박한 의료 환경에서 의료진이 정확한 판단을 내리고 빠른 치료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울 것으로 보인다.
김동민 제이엘케이 대표는 "하버드대학 등 글로벌 의료기관들과의 임상 검증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한 결과 이번 FDA 승인을 받게 됐다"며 "이번 솔루션은 급박한 응급 환경에서도 의료진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해 환자의 예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비조영 CT 영상을 분석해 SDH가 의심되는 경우, 모바일 앱인 스냅피를 통해 알림을 보내는 기능도 제공한다"며 "SDH 발생 후 치료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치료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브레디스헬스케어 로고
브레디스헬스케어는 디지털 면역분석(Digital Immunoassay) 기술을 적용한 혈액검사용 의료기기인 "BREDIS DIA Reader"를 개발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체외진단의료기기 1등급 신고를 완료했다고 5일 밝혔다.
이 제품은 디지털 면역분석 기술을 의료기기로 상용화한 세계 최초의 사례로, 국내 바이오헬스케어 기술의 글로벌 시장 선도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브레디스헬스케어의 디지털 면역분석 기술은 기존 면역분석법(ELISA)에 비해 수천 배 이상의 감도를 자랑하며, fg/mL(펨토그램/밀리리터) 수준의 극미량 단백질까지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기술이 적용된 BREDIS DIA Reader는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 심혈관질환, 암 등의 조기 진단과 정밀 의료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신고 완료된 의료기기를 바탕으로 회사는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바이오마커인 타우 단백질(Ptau217), 뉴로필라멘트 경쇄(NfL), GFAP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디지털 면역분석 진단키트의 상용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대량 생산 체계 구축과 함께 FDA 허가를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황현두 브레디스헬스케어 대표는 "이번 제품화는 국내 기술로 개발된 디지털 면역분석 기술의 세계적 경쟁력을 입증하는 시작점"이라며 "앞으로도 난치성 질환의 조기 발견과 정밀 치료에 기여할 수 있도록 혁신적인 진단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브레디스헬스케어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시험검체분석기관(GCLP) 지정을 받은 후, 해당 기술을 활용한 임상시험검체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며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등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케어닥-카카오헬스케어 간병 예약 서비스 6월 오픈
시니어 토탈케어 전문 기업 케어닥은 카카오헬스케어와 업무협약을 맺고, 6월부터 카카오톡 챗봇 '케어챗'을 통해 간병 예약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간병 서비스의 접근성과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케어챗'은 카카오헬스케어의 카카오톡 기반 병원 컨시어지 서비스로, 병원 예약, 접수, 대기, 진료비 결제 등 진료 이외의 병원 관련 업무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기존에는 외래 진료뿐만 아니라 입원 예약, 병상 배정 등 입원 관련 서비스까지 확대됐다.
이번 제휴를 통해 케어닥은 병원 간병 인력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며, 사용자는 케어챗을 통해 입원 예약 시 동시에 간병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간병인 자격 및 경력 검증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검증된 간병인을 바로 매칭 받을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회원 가입 없이도 서비스를 즉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케어닥과 카카오헬스케어는 이번 제휴를 통해 28만 명에 달하는 케어챗 회원들에게 케어닥의 병원 전문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며, 향후 간병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고, 전문 돌봄 서비스 부문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박재병케어닥 대표는 "이번 제휴를 통해 고품질 간병 서비스에 대한 접근 장벽을 낮추고, 더 나은 간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전문 간병 및 돌봄 서비스를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도를 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조히드 에르마토프 우즈베키스탄 건강보험공단 회장, 신현경 (주)아크릴 부대표 (왼쪽부터)
인공지능 전문기업 ㈜아크릴은 우즈베키스탄 건강보험공단(State Health Insurance Fund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과 협약을 체결하고, 우즈베키스탄 건강보험 시스템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협약식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 위치한 우즈베키스탄 건강보험공단에서 진행되었으며, 양측은 앞으로 3년간 협력 관계를 유지하며, 의료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건강보험 시스템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정기적인 회의와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할 예정으로, 이번 협력이 우즈베키스탄 건강보험 시스템의 현대화와 의료 서비스 접근성 향상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크릴은 이전에도 우즈베키스탄에서 병원정보시스템 '나디아(NADIA)' 구축과 AI 기반의 디지털 감염병 예후 및 예측 의사결정 시스템 제공을 통해 우즈베키스탄 보건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아크릴은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AI 헬스케어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나디아'는 AI 기반으로 의료 데이터를 분석하고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으로,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서도 고품질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