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메인 컨텐츠 영역

헤드라인 뉴스

  1. 코에 뿌리는 독감백신 아스트라제네카 ‘플루미스트’ 11년 만에 한국 재상륙

  2. 지난해 국내 의약품 생산 32조8629억원, 바이오의약품은 6조3125억원 차지

  3. 서울성모병원-서울시립대-Singularity Quantum 합동 연구팀, ‘양자컴퓨팅 활용 심혈관질환 진단’ 연구

  4. 덴마크 룬드벡社, ‘Lu AG13909’ 선천성 부신 과다형성증 치료제 美ㆍEU ‘희귀의약품’ 지정

  5. 베이진코리아 PD-1 억제제 ‘테빔브라, 식도암·위암·비소세포폐암 등 적응증 5개 추가

섹션2 바텀 영역

중요뉴스
최신뉴스
  1.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일본 SPI와 전략적 협약…재생치료제·동물대체시험 일본 진출 본격화

    오가노이드 기반 재생치료제 및 정밀의료 기술을 선도하는 오가노이드사이언스(476040)는 지난 4일 일본 의약 유통 전문기업 SPI(Summit Pharmaceuticals International)와 전략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재생치료제 ‘아톰-C’와 신약평가 플랫폼 ‘오디세이(ODISEI)’의 일본 진출을 위한 실질적 기반을 ...

  2. 동아제약, ‘2025 박카스배 전국학생골프팀선수권대회’ 10일 개막… 초등부 경기 5년 만에 재개

    동아제약은 차세대 골프 인재를 육성하는 ‘2025 박카스배 SBS GOLF 전국시도학생골프팀선수권대회’를 오는 10일부터 11일까지 제주 골프존카운티 오라CC에서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이 대회는 동아제약과 SBS골프가 공동 주최하고 대한골프협회가 주관하며, 전국 초·중·고 선수 등록 재학생 230여 명이 참가한다. 특히 올해는 코...

  3. 광동제약, 제14회 광동 암학술상 수여... 3개 부문서 4명 시상

    광동제약은 대한암학회와 함께 국내 암 연구 발전에 공헌한 연구자를 대상으로 ‘제14회 광동 암학술상’을 시상했다고 7일 밝혔다.올해 수상자는 박영주 서울의대 교수, 김신곤 고려의대 교수, 김효송 연세암병원 교수, 신애선 서울의대 교수로 선정됐다.기초의학 부문에서는 박영주 교수와 김신곤 교수가 ‘International Journal of Surg...

  4. 대원제약 '포타겔현탁액', 5년째 판매량 1위… 국민 지사제 입지 공고

    대원제약의 일반의약품 지사제 ‘포타겔현탁액(포타겔)’이 2021년부터 2025년 5월까지 5년 연속 국내 판매량 1위를 차지하며 해당 기간 최다 수량 판매 제품으로 집계됐다.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의 판매 통계에 따르면, 포타겔 6포 제품은 2024년 한 해 동안 약 64만 팩이 판매됐으며, 2021년의 약 33만 팩 대비 두 배 가까운 판매량을 기...

  5. 동아쏘시오홀딩스, 서스틴베스트 ‘ESG 베스트 100대 기업’ 선정 …자회사도 수직 상승

    동아쏘시오홀딩스가 서스틴베스트의 2025년 상반기 ESG 평가에서 ‘ESG 베스트 Company 100’에 2회 연속 선정됐다. 이번에는 연결 자산 규모 2조원 이상 그룹군에서 처음으로 A등급을 획득하며 ESG 우수기업 반열에 올랐다.자회사 동아에스티와 에스티팜도 각각 4위와 8위로 수직 상승하며, 5천억~2조원 미만 상장사 그룹군에서 2회 연속 AA등...

  6. 韓 제이엘케이-日 마루베니 그룹 자회사와 유통계약 체결 ... 일본 의료 AI 시장 본격 진출

    의료 AI 전문기업 제이엘케이가 일본 5대 종합상사 마루베니 그룹의 헬스케어 자회사 크레아보와 유통 계약을 체결하고 일본 시장 공략에 나선다. 이 계약을 통해 제이엘케이는 AI 기반 CT 분석 솔루션과 뇌 영상 정량화 기술 등을 일본 의료기관에 직접 공급할 수 있는 공식 유통망을 확보했다.마루베니 그룹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갖춘 일본 ...

  7. IQ만으론 부족… 경계선지능 아동, 적응 기능 평가와 맞춤 지원 필요

    경계선지능 아동은 IQ 70~85 수준으로 지적장애 진단 기준보다는 높지만, 일반적인 학습과 적응 능력에는 다소 부족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들은 또래에 비해 이해와 적응 속도가 느려 학습은 물론 놀이와 사회적 관계에서도 어려움을 겪는다. 하지만 명확한 진단 기준이 없어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한 채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최근에는 단순...

  8. 박정현 이대목동병원 교수팀, “골다공증 약물 중단 기간 길수록 MRONJ 예방 효과"

    골다공증 환자가 치과 치료 전 골다공증 주사 치료제를 일정 기간 중단하면 약물 관련 턱뼈 괴사증(MRONJ)의 발생 위험을 유의하게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박정현 이대목동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 연구팀은 국내 골다공증 환자 15만 명 이상의 데이터를 분석해, 비스포스포네이트 주사제 중단 기간과 MRONJ 발생률 간의 상관관...

  9. 한미 R&D의 또다른 핵심축 ‘항암’…스위스에서 혁신 성과 알려

    한미약품이 개발 중인 차세대 표적항암제 ‘EZH1/2 이중저해제(HM97662)’가 기존 치료제의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비임상 연구를 통해 입증하며 국제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회사는 지난달 17일부터 21일까지 스위스 루가노에서 열린 제18회 국제림프종학회(ICML 2025)에 참석해, HM97662의 비임상 혈액암 연구 결과를 포스터 형식으로 ...

  10. 연세의대 연구팀, 식이와 치매 발생 위험 연관성 분석 ... 지중해 식단, 치매 위험 최대 28% 낮춰

    식이 패턴이 치매 발병 위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이지원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교수, 권유진 용인세브란스병원 교수, 허석재 의과대학 박사, 윤지은 학생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영국 UK 바이오뱅크(UK Biobank)의 13만여 명 데이터를 분석해 지중해식과 마인드식 등 건강한 식이 패턴이 치매 위험을 최대 28%까지 낮...

  11. 분당서울대병원, 3D 바이오프린팅으로 재생효과 극대화.. 침습적 수술 없는 림프부종 치료 가능성 나왔다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접목한 줄기세포 기반 림프절 재생치료가 동물실험에서 효과를 보이며, 림프부종을 수술 없이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됐다.정재훈 분당서울대병원 성형외과 교수 연구팀(강효진 호남대 교수, 이주희 동국대 교수)은 인체 지방 유래 줄기세포를 3D 프린팅한 림프절 유사 구조체(스캐폴드)에 고정한 뒤, 이를 손...

  12. 중앙대병원 연구팀, 걷기운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결과 밝혀 ... 걷기운동 하는 노인이 삶의 질 높다

    우리나라 노인의 삶의 질이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가운데, 비만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걷기운동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김정하·이혜준 중앙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65세 이상 노인 6060명을 대상으로 걷기운동, 유산소·근력운동 여부와 삶의 질 간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

  13. 연세대 의대 연구팀, 정상 인체 세포 돌연변이 발생 지도 완성

    인체 내 체세포 돌연변이의 시공간적 분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지도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최초로 개발됐다.오지원 연세대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교수팀은 비질환 성인의 전신 조직에서 수집한 정밀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해, 정상 인체에서 체세포 돌연변이가 발생하고 축적되는 양상을 시각화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고 3...

  14. 이유선 고려대 안암병원 교수, 김윤지 서울아산 교수팀, 얼굴 성장과 혀의 상관관계 밝혀

    이유선 고려대 안암병원 치과교정과 교수팀이 3차원 영상인 CBCT(Cone Beam 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해 혀의 위치 및 부피와 얼굴 골격 구조, 안면 성장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연구에는 정석기 고려대 구로병원 치과교정과 교수, 김윤지 서울아산병원 치과교정과 교수도 함께 참여했다. 기존 2차원 엑스레이 기반 연구의 한...

  15. 서울아산병원 연구팀, 초고해상도 영상 기술로 장기 내 미토콘드리아 움직임 실시간 관찰

    국내 연구진이 초고해상도 영상 기술을 활용해 살아 있는 동물의 장기 내 미토콘드리아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시각화하는 데 성공했다.김준기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교수팀은 이광자 생체 현미경에 방사형 변동 기반 초해상도 영상화 기법(SRRF)을 적용하고, 알코올성 간질환 쥐 모델에서 간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의 동선을 실시...

칼럼 +더보기

섹션7 영역

의학건강

정책사회

제약바이오

글로벌뉴스

식품

의료기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