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난이도 높은 고형암 표적 STING...화이자도 1상 개발 중단
  • 주경준 기자
  • 등록 2025-03-17 06:23:37
기사수정
  • 사업 전략적 사유 중단 설명...임상개발단계 유일한 경구투약 옵션 후보

화이자는 STING(Stimulator of Interferon Genes) 작용제 후보 PF-07820435의 1상 개발을 중단했다. 임상개발단계의 유일한 경구 투약옵션이었다. 


화이자는 13일 클리니컬 트라이얼 정보 업데이트를 통해 고형암 치료 효과를 살피는 STING 작용제 후보 PF-07820435의 1상(NCT06285097)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또 중단사유로 안전성이나 효능 문제가 아닌 사업 전략적 사유로 중단됐다고 설명했다.


임상은 24년 2월 시작됐으며 효능과 안전성 평가와 함께 화이자의 PD-1 후보 사산리맙(Sasanlimab)과의 병용요법에 대한 평가도 함께 진행될 예정이었다. 연구는 140명의 참가자를 모집할 예정이었으나 총 9명 모집에 그쳤다.


PF-07820435는 지난해 실적발표를 통해 확인된 파이프라인 발표에 따르면 화이자의 STING 작용제 후보 라인업중 유일하게 임상 개발단계에 진입한 후보물질이자 유일한 경구투약 옵션이었다.


STING(Stimulator of Interferon Genes)은 우리 세포 안에서 ‘비정상적이거나 외부에서 들어온 DNA’를 감지해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으로 일종의 ‘경보 센서’다. STING을 활성화하면 암세포 내에서 돌연변이로 비정상 DNA 조각에 반응, 면역세포가 종양을 더 적극적으로 공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아왔다.


특히 면역관문억제제(PD-1/PD-L1 등)과 병용을 통해 암을 공격하는 면역반응을 더 강력하게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으나 강력한 면역반응으로 인한 부작용은 극복과제로 아직 후기임상까지 도달한 사례는 없다.


일부 연구자들이 최초의 STING 작용제(원개발 혈관형성 억제제)로 간주하는 노바티스의 바디메잔(Vadimezan DMXAA)가 3상에서 실패한 이래 ADU-S100(MIW815), MSD의 울레보스티낙(Ulevostinag, MK-1454), BMS의 BMS-986301, GSK의 GSK3745417 등이 1,2상 단계에 임상개발을 중단했다. 최근에는 다케다의 TAK 500 역시 클리니컬 트라이얼 업데이트를 통해 추가개발 없이 종료를 발표했다.


세부 임상결과가 공개된 올레보스티낙의 경우 키트루다 단독 대비 키트루다 병용군에서 객관적 반응률은 높았으나 큰 비율로 부작용이 증가했다. 나머지의 경우 효과가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보고됐다.


개발이 진행중인 품목으로 가장 관심을 받고 있는 후보물질은 일시적으로 FDA로 부터 임상보류됐던 머사나(Mersana Therapeutics) XMT-2056이다. HER2 표적 STING 작용제 항체약물접합체(ADC), 즉 HER2 과발현 세포에 STING 경로를 활성화하는 XMT-2056는 지난해 10월 보류해제 이후 1상(NCT05514717) 개발이 진행중에 있다. GSK가 공동개발 및 판권 옵션 행사 권한을 보유한 품목이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애브비
아주대병원
화이자
부광약품
한국다케다제약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