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강진형 서울성모병원 종양내과 교수, 대한폐암학회 차기 회장 선임
  • 오민택 기자
  • 등록 2024-12-02 14:12:05
  • 수정 2024-12-03 14:39:10
기사수정
  • 아산재단 보령아산병원장 이필량 교수 선임 … 서울대 졸, 충북대 거쳐 울산대 교수
  • 한양대구리병원 정형외과 교수팀, 대한골다공증학회 및 대한노년근골격의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상 수상
  • 이대목동병원, 백혈병 치료 권위자 이석 전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교수 영입

강진형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종양내과 교수

강진형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종양내과 교수가 대한폐암학회 차기 회장으로 선임됐다. 강 교수의 회장 임기는 2025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이다.

대한폐암학회(Korean Association for Lung Cancer, KALC)는 폐암연구회에서 출발해 지난 25년간 폐암의 예방, 진단, 치료를 선도해 온 학회로 종양내과, 호흡기내과, 흉부외과, 방사선종양학과, 병리학과,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기초의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400여명이 함께 하고 있다.

강 교수는 서울성모병원 종양내과 교수로 재직하며, 암 치료 전략과 전신적인 약물치료를 담당하는 종양내과 전문의로 30여 년간 200여 건의 국내외 임상시험에 참여했다. 특히 항암제 임상시험을 통해 효과적인 새로운 암 정밀치료법을 신속하게 환자들에게 적용하기 위해 노력해왔으며, 300여 편의 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했다.

또한, 국책 연구과제를 통해 국내 환자들을 위한 정밀 맞춤 치료 환경 조성에 기여했고, 이에 보건복지부장관 표창(2016년, 2019년)과 국무총리 표창(2019년)을 받은 바 있다.

강 교수는 “지난 25년간 폐암 분야를 선도해 온 대한폐암학회 회장으로 취임하게 되어 영광스럽게 생각하고 무거운 책임감 또한 동시에 느낀다”며 “다학제간 협력 증진과 회원층 확대, 세계폐암학회 학술대회 준비와 실질적인 교류 등에 힘써 대한폐암학회의 위상을 국내외에서 드높이고, 폐암 환자들을 위한 최선의 치료와 지원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필량 정읍아산병원 산부인과 교수

이필량 정읍아산병원 산부인과 교수가 아산사회복지재단 보령아산병원 신임 원장으로 28일 임명됐다. 

   

이 교수는 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충북대 의대 조교수를 거쳐 1994년부터 서울아산병원에서 재직했다. 대외적으로는 대한모체태아의학회 회장과 대한산부인과학회 이사장 등을 지냈다.

   

2023년에 당시 정읍아산병원장이었던 임경수 전 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권유로 부인인 조혜경 소아청소년과 교수와 함께 정읍으로 자리를 옮겼고 이번에 보령아산병원장으로 임명됐다.

   

이밖에 남기호 홍천아산병원장, 최병진 보성아산병원장, 김형국 금강아산병원장, 박정규 영덕아산병원장은 각각 연임됐다. 이들의 임기는 2025년 1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 2년이다. 김잔디 정읍아산병원 병원장은 금년 8월 취임해 임기를 수행 중이다. 

   

이밖에 아산재단은 △재단사무처 경영지원실장 박철완 △ 강릉아산병원 경영지원실장 겸 동부지역관리본부장 오성규 △ 정읍아산병원 경영지원실장 겸 서부지역관리본부장 김준형을 발령했다.

   

서울아산병원은 △ 교육부원장 최인철 △ 관리부원장 정태경 △ 경영지원실장 윤천식 △ 운영지원실장 손종석을 임명했다.


박예수 한양대 구리병원 정형외과 교수

박예수 한양대구리병원 정형외과 교수(박예수, 소재완, 김현준 교수)이 11월 3일 서울 용산의 드래곤시티 호텔에서 거행된 2024년 대한골다공증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Prevalence and riskfactor assessment of sacral insufficiency fractures in patients with low backand pelvic pain 라는 주제로 구연 우수상을, 골다공증성척추 압박골절에서 압박률 진행에 대한 분석이라는 주제로 구연 장려상을 동시에 수상하는 영광을 안았다.


특히 sacrum insufficiency fracture 관련 논문은 11월 17일 스위스 그랜드호텔에서 거행된 대한노년근골격의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도구연 우수상을 수상해 우수상 2관왕에 오르는 영광을 안았다


한국 여성건강 및 골다공증 재단의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박예수 교수는 본 논문에서 요통과 골반통을 호소해 내원하는 환자들에게서  간과되고 있는 골반의 부전골절의 발생률과 위험인자들을 분석해 고령 환자들에서 놓치기 쉬운 골반의 부전골절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척추 압박골절에서 압박률 진행에 대한 분석에서는 30% 미만의 압박골절 환자들에서도 악화의 가능성이 높아 골다공증이 동반된 경우는 특히 주의를 요한다고 했다.


박 교수는 한양대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미국 Johns Hopkins 대학에서 연수했다. 그는 대한정형외과학회 감사, 대한척추외과 감사, 대한골다공증학회 회장, 대한척추외과 골다공증 연구회 회장, 대한척수학회 회장, 대한골연부조직이식학회 회장, 대한척추외과학회 경인지회 회장, 대한척추 종양학회 회장, 대한컴퓨터 수술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최근에는 한국여성건강 및 골다공증 재단 이사장으로 활발한 학회 및 대국민홍보 활동을 하고 있다. 특히, 골다공증 분야의 업적을 인정받아 골다공증 분야의 마르퀴즈 후즈 후 평생 공로상((Marquis Who’s WhoMarquis Lifetime Achievement Award)을 수상한 바 있다.


이석 이대목동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 

이대목동병원은 백혈병 치료의 권위자인 이석 혈액종양내과 교수를 영입하고 본격적인 진료를 시작했다고 2일 밝혔다.


이 교수는 급성림프모구백혈병, 급성혼합형백혈병, 림프종, 조혈모세포이식, CAR-T(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 세포치료 등 혈액학 분야의 권위자로, 연세대 의대를 졸업하고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2001년부터 가톨릭의대에서 조교수로 재직해왔다.


그는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에서 진료를 하며, 국내 성인 급성림프모구백혈병 환자의 절반 가량을 담당한 바 있다. 특히, 동종조혈모세포 이식 건수가 1500건을 넘어서며, 국내 혈액학 및 조혈모세포 이식 분야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이 교수는 그동안 의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학술지에 3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최근에는 환자별 미세잔존질환과 분자·세포면역학적 특성에 기반한 새로운 표적치료법 개발을 위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대목동병원은 이 교수의 영입을 통해 백혈병 진단과 치료, 조혈모세포 이식 분야에서 업그레이드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교수는 병원의 백혈병 치료 및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전망이다.


이 교수는 "약 30년 동안 혈액암 환자를 치료, 연구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이화의료원의 혈액 분야가 국내 선두그룹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핵심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진태 GC케어 대표이사 겸 유비케어 대표이사

GC녹십자홀딩스는 김진태 GC케어 대표이사를 GC케어 대표이사 겸 유비케어 대표이사로 선임하는 등 지난달 29일 계열사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김연근 GC녹십자홀딩스 경영관리본부장이 GC녹십자MS 대표이사로, 원성용 GC셀 세포치료연구소장이 GC셀 대표이사, 조관구 GCCL 임원실 선임이 GCCL 대표이사로 각각 승진했다.


이사급(직급) 승진자로는 박충권 GC녹십자EM 대표이사(E4급), 김연근 GC녹십자MS 대표이사(E3급), 허진성 GC홀딩스 경영관리본부장(E2급) 등이 있다.

   

신규 임원(E1급)에는 노형주 GC 경영관리본부 기획조정담당, 박정민 GC DT추진실장., 이상수 GC 총무비서실장, 유성곤 GC녹십자 국내영업부문 PC본부장, 김문배 GC녹십자 생산부문 음성공장장, 차경일 GC녹십자 R&D부문 MSAT본부장, 박천보 GC녹십자 QM실 QA Unit장, 양윤정 GC녹십자MS 글로벌사업본부장, 안종근 GC녹십자EM FM사업본부장, 이학준 GC녹십자EM 건설본부장 등이 올랐다. 


대원제약은 2025년 1월 1일부로 총 3명의 임원 정기 승진 인사를 발령했다.

상무 승진 △사업개발부 길선희 △신약연구부 황현환

이사 승진 △해외사업부 강종환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인제대학교백병원
고려대학교의료원
중앙대병원
한림대병원
국립암센터
건국대병원
카톨릭중앙의료원
부광약품
동화약품
존슨앤드존슨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