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은 때때로 뚜렷한 원인 없이 붓는 경우가 있다. 주로 다리나 발과 같이 하체가 붓는 경우가 많지만, 누워있을 때는 얼굴과 눈 주위가 특히 더 붓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인들 대부분은 붓기의 원인이 림프계에 있다는 점을 잘 모른다. 우리 몸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수분(체액)은 세포 안에 2/3, 혈액을 구성하는 혈장 및 세포와 세포사이에 나머지 1/3이 존재하는데, 부종은 이렇게 세포내액과 간질액(세포외액)이 어떤 원인에 의해 균형을 잃어 몸의 일부, 혹은 전신이 붓는 현상을 말한다. 부종은 체중의 70%가 수분(체액)으로 이뤄진 인간에게 매우 흔한 증상일 수 있다. 따라서 부종의 원인은 다양할 수밖에 없는데, 유방암 또는 부인과 암 치료 후 발생하는 부종, 그 외 신장, 순환기계 등의 이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이차성 림프 부종 등이 대표적이다. 림프액이란?심장에서 나온 혈액은 혈관을 통해 각 조직에 산소와 수분,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공급한 혈액은 정맥으로 재흡수되어 다시 심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10% 정도는 단백질, 박테리아, 노폐물 등으로 림프관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것이 바로 림프액이다.한편 림프액은 간질액이라고도 하는데, 림프관을 통해 이동하며 림프절에서 노폐물을 여과해 깨끗한 상태로 만들어지게 된다. 림프절은 이물질과 싸울 항체를 생성하기도 하는데, 대부분의 림프절은 체내 겨드랑이, 사타구니, 유방 및 목 부위에 위치하고 있다. 림프부종이란? 림프부종은 림프계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정상적으로 이동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이는 마치 사고가 난 차량 때문에 고속도로가 꽉 막힌 현상과 같다. 림프부종은 초기에는 육안으로 붓기를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림프부종의 첫 증상으로는 부종 부위가 무겁게 느껴지거나, 압박감이 드는 경우를 생각해볼 수 있다. 암 수술 후 회복 중인 환자라면 팔, 겨드랑이, 가슴의 일부, 그 외에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받은 부위가 부어오를 수 있다. 선천적인 림프부종이나 림프관과 림프절 등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일차성 림프부종에 비해 특히 유방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등 여성암 환자의 20% 이상에서, 전체 암환자의 15.5%에서 이차성 림프부종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암으로 인한 수술로 림프절이 제거된 경우, 방사선 치료를 하면서 림프계가 손상된 경우, 암의 진행이나 재발로 림프절에 암이 전이된 경우에도 림프부종이 발생할 수 있다.림프부종의 대표적인 증상 일부 환자들은 부종 부위에 있는 말초신경의 변화로 바늘로 찌르는 듯한 이상감각을 느끼기도 하지만 부종이 심할 때 피부를 눌렀다가 떼었을 경우 들어가서 나오지 않는다면 림프부종을 의심해볼 수 있다. 또한 부어있는 팔과 다리가 터질 것 같으면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세균에 감염이 된 피부의 경우 열감과 피부의 발진, 통증과 열이 동반될 수 있다. 림프부종이 발생하면 주로 팔과 다리의 붓기로 인해 옷을 입거나 신발을 신는 등의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겪고, 변형된 외모와 주변의 시선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소극적인 사회생활이 불가피하다. 또한 림프부종이 장기화되면 조직에 섬유화가 진행되어 외모의 변형뿐만 아니라 부종의 정도에 따라 무겁고 뻣뻣한 느낌과 통증을 동반하므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때때로 몇 년 후 발생하거나 저절로 증상이 없어져 정상이 되거나, 어떤 환자들은 치료 후 수십 년이 지나도 재발하지 않기도 한다. 림프부종은 왜 치료해야 하는가 부종이 발생한 부위의 체액은 단백질이 풍부해 세균이 성장하기 좋은 환경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림프 부종을 치료하지 않고 그대로 두면 세균감염이 일어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어 감염의 위험이 높으며, 산소공급은 부족해지므로 상처가 잘 아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림프부종이 발생하면 주로 팔과 다리의 붓기로 인해 옷을 입거나 신발을 신는 등의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겪고, 변형된 외모와 주변의 시선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소극적인 사회생활이 불가피하므로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림프부종의 예방과 조기진단 암 질환 발병률이 높아지면서 전이를 막기 위해 예방적 림프절 제거술을 일반적으로 시행하게 되는데, 이런 환자들에게서도 림프부종은 전체 환자의 20~30%가량이 발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환자가 1억 2,000만명 이상, 국내에도 3만 명 이상으로 추정되는 등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어 관심이 필요하다. 림프부종이 발생하면 림프액 배출을 돕는 ‘도수림프 배출법’을 꾸준히 시행해야 한다. 하지만 압박치료나 운동 등 보존적 치료를 1년 이상 시행해도 만족할 만한 효과를 보지 못한 환자의 경우 선택적으로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림프부종 치료를 위한 식사와 운동요법 저녁식사를 적게 일찍먹고 식사후 2시간 정도 이후에 수면을 취하고 염분과 수분제한을 위해 저녁식사에는 찌개나 국을 놓지 않아야 한다. 증상에 따라서는 나트륨제한을 위해 저염식으로 조리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성인이 세끼 식사와 음료수, 커피 등을 통해 섭취하는 수분은 평균적으로 2800cc정도로 알려져 있다. 소변량이 적고 부종이 심할 경우에는 하루 1500cc정도까지 수분을 제한해야 한다. 또한 부종이 있는 환자는 앉아있거나 누울 때 다리를 높게 올려주는 것이 좋다. 걷기, 자전거타기 등과 같은 가벼운 전신운동은 혈액순환을 돕고 부종을 줄일 수 있다. 부종이 심한 경우는 ‘간헐적 공기압박기구’를 이용하여 팔다리의 혈액을 신장과 심장으로 순화시킴으로써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단, 사우나, 온욕 등은 전신혈액의 순환을 촉진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오히려 피로, 무력감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유현준 고려대 안암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는 “림프부종의 치료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림프부종을 악화시킬 수 있는 원인들을 최소화하는 것”이라면서 “붓기를 빼기 위해 열탕과 냉탕을 왔다갔다 한다든지, 꽉 끼는 옷이나 액세서리를 착용한다든지, 무리한 운동으로 붓기를 빼려는 시도는 오히려 림프부종을 키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은 림프 부종 환자들이 증상이 있을 시 재활의학과 외래에 내원하여 부종을 평가하고 재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림프 부종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다. 충분한 재활 치료에도 불구하고 반응이 적은 환자들이 수술적 치료까지 고려할 수 있는 협진 체계가 구축되어 있어 전문적으로 림프질환을 진단하고 수술부터 재활까지 체계적인 치료 및 관리를 지향하고 있다. 림프부종의 주의사항 붓기를 낮추기 위해서는 낮 시간이나 이른 저녁 시간을 이용해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올리고 누운 상태로 30분 이상 쉬어야한다.부종이 있는 곳에 상처를 입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피부를 깨끗하고 촉촉하게 유지해야 한다.적정 체중을 유지해야 한다.건강한 식이를 하고 충분한 수분섭취를 한다.이뇨제는 필요한 경우에 한해서만 의사의 처방과 관찰 하에 적절하게 투여해야 한다.
2022-05-27 11:37:08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아밀로이드증 다학제 진료팀은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환자에서 치료 전·후 아밀로이드 PET-CT 영상을 이용하여 치료 반응 및 생존 예측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Investigator initiated trial; IIT)을 시작했다. 본 연구를 통해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환자의 진단율을 높이고, 치료 반응을 효율적으로 평가하며, 1주일 이내에 검사를 완료 할 수 있는 one-stop 시스템을 갖추어 운영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진단이 가능하다.전신성 아밀로이드증은 경쇄 또는 유분이라 불리는 과도한 양의 비정상적 섬유성 단백질이 체내에 생성되고, 이것이 장기에 축적되면서 기능을 떨어뜨리는 질환으로, 일차성, 이차성, 유전성 아밀로이드증으로 분류되며, 일차성 아밀로이드증은 혈액암과 연관된 유형이다. 일차성 아밀로이드증은 골수 내 형질세포 계열의 암성 클론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희귀 난치성 질환으로 분류한다. 국내의 정확한 역학 자료는 없으나,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12~15%에서 일차성 아밀로이드증이 병발한다는 보고를 기반으로, 국내의 다발골수종 증가 추세에 따라 매 년 180~225명 이상의 일차성 아밀로이드증 환자가 발생 할 것이라 추측하고 있다.전신성 아밀로이드증은 전신 장기에 침범 할 수 있으며, 혀, 심장, 관절, 신장, 소화기관, 간, 피부, 신경계, 상하기도 순으로 확산 되, 침범된 장기에 따라서 호흡곤란, 어지럼증, 감각저하, 기억력 저하, 피로감, 부종, 체중감소, 설사, 변비, 복부팽만감, 혀가 커지는 증상 등이 발현된다.초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으며, 증상은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서 침범된 조직과 기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대부분 비특이적 증상이므로 감기나 장염으로 오인하여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도 많다.전신성 아밀로이드증의 치료 목표는 침범된 장기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에 있다. 다발성 골수종과 연관된 일차성 아밀로이드증은 항암치료, 자가조혈모세포이식 등을 시행하여 형질세포 계열의 암성 클론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함께 증상에 대한 보존적 요법을 병행하여 삶의 질을 개선한다.다학제 진료팀은 혈액내과, 순환기내과, 신장내과, 감염내과, 외과,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등 다양한 임상과 의료진이 참여하여 환자 맞춤형의 최적 의료를 구현하고 있다.혈액병원 다발성골수종 센터는 환자별 최적의 진단 및 최신 면역항암치료법을 적용하고, 이를 다학제 진료팀의 의료진들과 공유한다. 최적의 심부전 보조요법과 신기능 대체 요법 및 정밀한 체액량 조절을 통해 면역항암치료의 효과를 극대화 한다. 또한, 영상의학과 및 핵의학과는 환자의 전신 장기별 침범 여부와 호전 여부를 시각화하여 정량적으로 계측함으로써 치료 효율성을 높여준다. 핵의학과에서 시행하는 PET-CT 검사는 질병 상태를 전신적으로 평가 할 수 있는 비침습적인 분자 영상 방법으로 여러 연구에서 아밀로이드 PET-CT가 전신 질병 상태 평가에 유용한 영상 도구임을 입증한 바 있다. 한편, 최근 새로 진단 받은 전신성 아밀로이드증에 대해 볼테조밉/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덱사메타손 (Bortezomib/Cyclophosphamide/Dexamethasone ; VCD) 항암요법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요양급여 승인이 되었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도 세계적인 표준치료요법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민창기 혈액내과 교수는 “우리 기관의 아밀로이드 다학제 진료팀은 환자의 진료뿐만 아니라 각 의료진의 역량을 제고하는 선순환의 기능 역시 갖추고 있다.” 며 “전신성 아밀로이드증의 표준 치료와 신약 임상시험을 통하여 환자들이 보다 더 좋은 치료를 받기를 희망한다.” 고 소감을 밝혔다.더불어,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 다발성골수종 센터는 심장 아밀로이드증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아밀로이드를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표적치료제의 글로벌 임상시험에 참여하여, 중증의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신약 치료제공을 통한 다양한 치료 기회를 제공하며 치료의 지평을 넓히고 있다.윤종찬 순환기내과 교수는 “전신성 아밀로이드증에서 가장 심각한 장기 침범은 심장이며 심부전에 따른 저혈압, 체액 저류 등 치명적인 합병증을 야기한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심장이식, 심실보조요법 등 다양한 최신의 기술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말하며, “과거에는 치료제가 없다고 여겨졌던 심장 아밀로이드증 환자들에게 신약 임상시험을 통하여 희망을 드리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라고 기대감을 밝혔다.
2022-05-27 09:58:17
김석호·최현진 차 의과학대(총장 김동익) 약학과 교수팀은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후보 물질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인간의 신경계, 내분비계 질환에 사용되는 신약 표적단백질인 에스트로겐 관련 수용체 감마(ERR gamma)가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의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경기도 지역협력연구센터(GRRC) 사업 지원을 받아 했으며 국제 학술지 ‘바이오오가닉 케미스트리(Bioorganic Chemistry)’ 온라인에 게재됐다. 에스트로겐 관련 수용체 감마(ERR gamma)는 인간의 주요 장기에 널리 분포해 신경분화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태아 신경계와 어른의 뇌에 많이 발현돼 있어 치료 응용 분야가 광범위하다. 도파민은 운동, 인지, 심리적 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파민이 부족한 경우 파킨슨병(운동장애질환)과 우울증(정신적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연구팀은 유전자 분석을 통해 발굴된 에스트로겐 관련 수용체 감마(ERR gamma) 효능제의 전사활성(轉寫活性)을 확인했다. 특정 단백질을 검출하는 웨스턴 블로팅법으로 해당 물질을 처리해 도파민 신경 세포에서 도파민 신경 표현형(TH, tyrosine hydroxylase; DAT, dopamine transporter)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검증했다. 분자모델링을 통해서도 이 물질이 에스트로겐 관련 수용체 감마와 결합력이 높음을 확인해 기존 물질보다 더 뛰어난 치료 물질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김석호 차 의과학대 약학과 교수는 “신경계 질환은 많은 타겟 연구가 진행됐으나 여전히 치료제 개발에 난항을 겪고 있다. 에스트로겐 관련 수용체 감마(ERR gamma)의 발굴로 신경계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돌파구가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 지역협력연구센터(GRRC) 사업은 경기도가 도내 대학, 연구소와 중소기업을 연결해 기술개발 활동을 지원하는 산학협력 모델로, 차 의과학대 GRRC센터는 경기도로부터 연간 5억 1000만원의 지원을 받아 연구개발을 하고 있다.
2022-05-27 09:33:40
생리통이 다시 생기고 부정출혈이 생겨 병원을 찾은 김모씨(45세) 는 20대에 생리통이 있었지만 출산 후 나아졌었는데 생리일과 배란일에 통증이 다시 시작되었다. ‘괜찮아지겠지......’하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는데 산부인과 검사 결과 “자궁내막증이 있다”는 진단을 받았다. 김씨는 수술을 받고 약물치료를 시작하였다. 성삼의료재단 미즈메디병원(병원장 장영건)이 2012년~2021년 최근 10년간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2년에 자궁내막증을 진단 받은 여성이 1,713명이었던 것에 비해 2021년에는 3,527명으로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총 24,077명의 자궁내막증 환자 중 연령대별로는 40대가 11,888명(49.4%), 30대가 6,657명(27.6%)이었고, 세부적으로 45~49세, 40~44세, 35~39세 순이었다. 자궁내막증은 자궁 안에 있어야 할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이외의 위치(난소, 난관, 장, 방광 등)에 존재하는 질환이다. 미즈메디병원 산부인과 이화정 진료과장은 “자궁내막증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생리혈의 역류, 면역기능저하, 유전적요인, 난포호르몬의 과다분비 등 여러 요인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며 “빨리지는 초경과 늦어지는 결혼·출산, 스트레스, 불규칙한 생활습관 등이 자궁내막증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또한 이화정 진료과장은 “자궁내막증은 발생부위나 유착 정도에 따라 다양한 통증을 일으킨다. 그 중 심한 생리통과 골반통이 대표적이다. 많은 여성이 생리통을 일상적으로 뒤따르는 통증이려니 생각하지만 자궁내막증으로 인한 생리통과 골반통은 위험신호로 받아들여야 한다. 자궁내막증을 가지고 있는 여성에서 드물지만 예후가 나쁜 난소암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있어 정기적인 검진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자궁내막증은 임신 중 증가되는 프로게스테론이라는 호르몬이 억제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출산 후 자궁내막증 병변이 줄어들고 생리통 증상도 줄어드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이전에 줄었던 자궁내막증 병변이 다시 발견되거나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생리통이 없었는데 갑자기 심해지거나 생긴 경우, 매달 생리통의 강도가 심해지는 경우 등에는 검사가 필요하다. 자궁내막증의 치료는 환자의 증상이나 병의 심각한 정도, 치료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여 개개인에 맞추어 약물치료나 수술치료가 이루어진다이화정 미즈메디병원 산부인과 진료과장은 “증상이 경미하고 크기가 크지 않은 자궁내막증은 자궁 내 장치를 삽입하거나 호르몬제와 진통제를 적절히 병용하며 경과를 지켜볼 수 있다. 하지만 난임의 원인이 되거나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자궁내막종의 크기, 호전되지 않는 골반통 등이 있는 경우 자궁내막증을 제거하는 수술로 증상의 빠른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22-05-26 16:00:08
심혈관질환 유발 논쟁이 있던 위산분비억제제 PPI가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높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산분비억제제 PPI는 전 세계적으로 위·식도 역류, 위염, 소화성 궤양 등의 위장관질환 치료에 폭넓게 사용되는 약물이지만, PPI 복용 시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가 여러 차례 발표되며 안전성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유준상 김진권 연세대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 신경과 교수, 강상욱 상경대학 응용통계학과 교수, 박주영 연구원 팀은 공동 연구를 통해 위장관질환에 널리 사용되는 약제인 위산분비억제제 ‘프로톤 펌프 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이하 PPI)’가 심뇌혈관질환의 발생 위험을 높이지 않음을 입증했다고 26일 밝혔다.연구팀은 2004년~2005년 국가건강검진 수검자 중 심뇌혈관질환의 과거력이 없는 30만여 명과 이중 심뇌혈관질환이 발생한 10,952명을 대상으로 자기 대조 환자군 분석과 콕스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자기 대조 환자군 분석에서는 심뇌혈관질환 발생률이 PPI와 H2 차단제 모두에서 증가하지 않았으나, 전통적인 생존분석법인 콕스 회귀분석에서는 두 약제 모두에서 증가함이 확인됐다.콕스 회귀분석과 달리 자기 대조 환자군 분석에서 PPI 복용에 따른 위험도 증가가 없다고 나타난 것은 해당 약제가 심뇌혈관질환의 위험도를 높이는 것이 아니라 약제를 복용하는 환자들이 가진 특성이 반영된 혼란 효과가 내포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환자군의 특성인 고령 및 동반 질환으로 인해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높아진 것이 PPI 복용으로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보였을 뿐이며 실제로는 PPI에 의한 위험도 상승이 없음을 의미한다. 특히, 심뇌혈관질환 유발 위험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H2 차단제에서도 분석 양상이 동일하게 나타난 것은 이를 뒷받침해준다.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그간 논쟁이 있었던 PPI 약제의 심뇌혈관질환 유발 위험이 없음을 밝힌 것임과 더불어, 응용통계학과 연구진의 공동 연구로 환자 개개인의 혼란 변수를 통제해 통계적 정확도를 더욱 높인 결과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고 설명했다.신경과 유준상 교수는 “혼란 변수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기 대조 환자군 기법을 활용했으며 이는 PPI가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음을 증명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며 “PPI 약제를 사용하고 싶었으나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우려로 충분한 치료를 받지 못한 환자들이 상당수 있었던 만큼 향후 더욱 적극적인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이번 연구는 SCI급 국제 저널인 미국 위장관학회지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IF 10.864)’에 온라인 게재됐다.
2022-05-26 14:58:43
최윤영 차 의과학대 일산차병원 (원장 강중구)상부위장관외과 교수팀은 위암의 희귀한 타입인 점액성 위암의 임상적∙분자적 특징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최윤영 교수는 위암으로 수술 받은 환자 5,089명을 분석한 결과, 환자의 3%를 (158명)을 차지한 점액성 위암 환자들이 현미부수체불안정성과 연관성이 높으며 다른 타입의 위암에 비해 예후가 좋고 일반적인 항암치료에는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미부수체불안정성 위암은 린치증후군으로 알려진 위∙대장∙자궁내막암과 연관된 유전성∙가족성암에서 나타나는 위암 형태이다. 동일한 병기 대비 예후가 좋으며 세포독성 항암치료가 효과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의 면역항암치료(면역관문억제재)에는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윤영 교수팀은 700 여 명의 위암 유전체 특징을 분석하여 GPR120, B3GNT6라는 유전자의 발현이 점액성 위암에서 유의하게 높으며 이러한 특징이 좋은 예후와 연관이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최윤영 일산차병원 상부위장관외과 교수는 “점액성 위암 환자는 현미부수체불안정성과의 연관성이 2배 이상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며 “만일 점액성 위암 환자가 현미부수체불안정성 타입으로 밝혀진다면 암의 가족력, 발병 나이 등을 고려해 유전성 질환을 감별하기 위한 유전자 검사와 함께 면역항암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세브란스병원 정재호, 삼성서울병원 안지영 교수와 공동으로 진행 되었으며, 세계위암학회 공식 논문인 위암 (Gastric Cancer) 5월호에 게재됐다.
2022-05-26 09:27:48
낙관주의적인 성향을 보인 환자들이 질병 치료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현경 인제대 일산백병원 호흡기내과 교수와 미국 연구팀이 공동으로 일반인과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COPD)를 분석한 결과, 낙관주의 점수가 높을수록 호흡기 증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에 분석한 자료는 미국 백인과 아프리카계 흡연자 코호트(COPDGene)의 10년 추적 관찰 데이터로, 10갑년 이상 흡연 경험이 있는 미국인 1967명이 대상이다.연구결과, 낙관주의 점수가 높을수록 COPD 악화는 줄고, 운동 능력과 삶의 질은 향상되는 유의미한 경향성을 보였다. COPD 중증도에 따라 분석한 결과 역시 모든 그룹에서 낙관주의 성향은 질병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COPD 악화 가능성은 낙관주의 점수(0~24점)가 1점 증가할 때마다 5%씩 감소했다. 운동능력 검사는 6분 동안 걸을 수 있는 거리를 측정하는 ‘6분 보행검사’로 시행, 낙관주의 점수 1점 증가할 때 9.5m씩 더 걸었다. 삶의 질(0~100점 척도)도 0.67점씩 호전했다.'낙관주의'는 미래에 좋은 일이 일어날 것이라는 긍정적인 태도나 신념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삶의 지향성 검사인 낙관성 척도(Life Orientation Test-Revised)를 사용해 낙관성을 평가했다.구현경 일산백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낙관적인 사람들은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약물 순응도도 높고, 운동이나 건강한 식단, 금연과 같이 바람직한 건강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아 면역 기능 향상이 예측된다”며 “COPD는 만성 염증성 폐 질환이기 때문에 이러한 영향이 폐 기능과 염증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낙관주의와 폐 기능의 연관성은 다른 연구에서도 입증됐다. 미국 재향군인 노화 연구(Veterans Administration Normative Aging Study)에서 평균 8년간 추적 연구 결과, 낙관적 성향이 높은 남성은 폐 기능이 더 높고, 폐 기능 감소 속도도 더 느렸다.낙관주의는 다른 질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최근 메타 분석 연구에서 심혈관 질환과 사망률에도 긍정적인 연관성을 보였다. 또 다른 연구에선, 낙관주의가 높은 여성에서 호흡기 질환이나 암, 심장병, 뇌졸중과 관련된 질환별 사망률과 전체 사망률이 낮게 나타났다 Optimism and Cause-Specific Mortality (https://pubmed.ncbi.nlm.nih.gov/27927621/).구현경 일산백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낙관주의 유전율은 25% 정도로 추정되며, 다시 말해 75%는 후천적인 학습으로 우리의 생각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아플수록 건강을 위해 긍정적인 생각을 하도록 노력하자”며 “긍정적인 삶은 스트레스는 덜 받고, 우울과 불안은 줄기 때문에 많은 연구에서 긍정적인 건강 효과를 보여준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영국에서 발행하는 SCI급 국제학술지 '호흡기 연구'(RESPIRATORY RESEARCH) 최근호에 게재됐다.
2022-05-25 15:34:07
대사이상지방간질환 환자에서 대사이상의 중증도에 따라 지방간의 간섬유화 위험도가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조용균·손원 강북삼성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와 권헌주 영상의학과 교수는 2015년~2018년도 사이에 강북삼성병원 종합건진센터를 방문한 성인 중 대사이상지방간질환 환자 967명을 대상으로 자기공명탄성도 검사를 이용해 간섬유화를 측정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바이러스 간염, 음주 등 간질환의 원인과 상관없이 대사질환의 동반 여부와 중증도에 따라 △과체중 그룹 △비만 그룹 △체중은 정상이지만 대사 질환이 2개 이상 있는 그룹 △제 2형 당뇨병을 포함한 대사 질환이 있는 그룹으로 나눠서 비교했다. 연구 결과, 간 섬유화 위험도는△과체중 그룹에서 1.3% △비만 그룹에서 5.5% △체중은 정상이지만 대사 질환이 2개 있는 그룹에서 6.4% △제2형 당뇨병을 포함한 대사질환이 있는 그룹에서 18.9%로 나타나, 간 섬유화에 대사 질환이 가장 큰 위험인자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허리둘레 이상, 혈압이상, 고지혈증, 비만 등 대사질환의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을수록 간 섬유화의 위험도가 증가해, 대사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간 섬유화의 위험도가 증가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고 연구진은 전했다.손원 강북삼성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대사이상지방간질환에서 간 섬유화의 위험도를 아시아인에서 분석 및 검증한 연구”라며 “이번 연구 결과는 지방간 환자에서 동반 대사질환의 확인 및 치료가 간 섬유화의 위험도를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이번 연구는 소화기 분야의 저명 학술지인 ‘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5월호에 게재됐다.
2022-05-25 14:18:19
따뜻한 날씨로 옷이 부쩍 얇아졌다. 남녀노소 구분 없이 매년 찾아오는 고민과 스트레스, 바로 ‘다이어트’다. 다이어트라 하면 단순히 체중계상의 체중을 생각한 과거와 달리, 체형과 건강까지 생각하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송미연 경희대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교수는 “체중은 적게 나가지만 상대적으로 체지방이 많이 나가는 ‘마른 비만’은 부분 비만, 특히 복부 비만과 연계되어 있다”며 “팔다리에 비해 몸통이 두껍고 마른 것처럼 보이지만 불필요한 부분에 지나친 체지방이 쌓인 경우, 반대로 하체 비만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경우 등은 잘못된 다이어트가 원하지 않는 부위, 더 나아가 체력까지 잃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각자 체형에 따른 올바른 진단과 계획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잘못된 자세는 근육의 단축과 이완의 불균형을 초래해 우리의 체형을 변화시킨다. 이는 올바른 대사를 방해하고 불필요한 습담을 쌓이게 만들면서 우리 몸의 불필요한 군살과 통증을 만들어낸다. 즉, 열심히 다이어트를 해도 우리가 원하는 부위의 군살, 부분비만이 해결되지 않는 이유다. 송미연 교수는 “한의학의 대표적인 침, 추나요법을 활용하는 체형교정 다이어트는 몸의 가장 안쪽에 위치해 뼈와 관절의 움직임을 잡아주는 속근육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며 “속근육은 단순히 체형을 잡아줄 뿐만 아니라 높은 대사율을 가지고 있어 다이어트에도 강력한 아군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신 거울을 앞에 서보면 본인의 체형을 살펴볼 수 있다. 양쪽 어깨의 높이, 골반의 높이를 보고 옆으로 서서 귀와 어깨 그리고 골반이 일직선상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보는 것이다. 구부정하게 등을 굽히는 자세는 상체 쪽에 불필요한 습담을 쌓이게 해 목과 어깨의 통증, 두통 증상과 함께 상체비만을 유발한다. 반면, 많이 앉아서 생활하거나 높은 굽을 즐겨 신는 여성은 요통과 소화장애, 그리고 복부비만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크다. 송 교수는 체형교정 다이어트의 가장 큰 장점에 대해 “일시적인 체중 감량을 넘어 만성 통증까지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이외에도 몸과 마음을 통합해 치료하는 비움 디톡스 다이어트도 비만으로 고민하고 있는 현대인에게 큰 도움이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비움 디톡스 다이어트의 비움(BIUM)은 Body, Inspiration, United, Medicine의 약자다. 한의학의 기본이 되는 심신일여, 즉 몸과 마음은 하나라는 이론을 토대로 마음을 가볍게 해서 몸을 바로잡고, 정화해 마음을 편하게 만드는 치료다. 넓은 의미에서는 해독치료라고 할 수 있다. 감식기(1주), 절식기(1~2주), 회복식기(2주)로 구분되어 진행되며 이후에는 6주간의 식이요법기를 가진다. 절식기에는 환자분의 상태에 따라 짧게 입원해 진행할 수 있다. 송 교수는 “체형교정 다이어트와 마찬가지로 비움 디톡스 다이어트는 우리 몸의 건강한 대사를 회복시키는 데 주목적으로 하며 △비생리적인 대사 산물 제거 △노폐물 배출 기능 회복 △기혈 생성 기능 회복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다”며 “단순히 체중감량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식생활 개선, 만성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들의 회복에도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적극 권장한다”고 말했다.단, 임산부나 수유부, 기저질환자, 고령이라면 반드시 전문 의료진의 진료와 상담을 통해 진행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또한, 비움 디톡스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면 금연, 금주는 필수이며 절식기 동안에는 원칙적으로 모든 약 처방을 제한하지만, 필요한 경우 의료진의 가이드에 따라 복용 가능하기도 하다.
2022-05-25 11:25:14
김정훈·조성우 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연구팀이 스마트폰 기기의 마이크만을 활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향후 진단 장비가 없는 개인도 스마트폰을 활용해 보다 간편하게 수면 중 호흡음을 측정,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수면무호흡증은 잠을 자는 동안 일시적으로 호흡이 멎거나 기도가 좁아져 적절한 호흡을 할 수 없는 수면장애 증상으로, 극심한 피로감을 비롯해 두통 혹은 집중력 저하 등을 유발해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또한 장기간 방치할 시 뇌졸중과 치매의 발병 위험을 높이고 고혈압, 당뇨, 협심증 등 심뇌혈관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조기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병원에서 하룻밤 머물며 수면 중 호흡, 심장 상태, 산소 농도와 같은 다양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표준수면다원검사’를 받아야 한다. 하지만 수면무호흡증의 정도는 그날의 피로도, 식습관, 깊은 수면의 비율 등에 영향을 많이 받아 매일 달라진다. 따라서 검사 당일의 상황에 따라 변동성이 있으며, 낯선 환경에서 각종 장비를 부착하기 때문에 수면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다.문제는 환자의 시간 부담과 건강보험 적용 제한의 이유로 인해 표준수면다원검사를 1회 이상 받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러한 일회성 검사의 한계로, 환자의 당일 컨디션에 따른 결과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환자들의 평소 수면환경에서 반복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어느 정도 정확하고 보다 간편한 검사법이 필요한 실정이다.이에 연구팀은 스마트폰을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수면무호흡증의 증상을 진단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마련하고자 연구를 진행, 표준수면다원검사를 수행하는 동시에 스마트폰으로 환자의 수면 중 호흡음을 녹음해 수면무호흡증을 예측할 수 있는지를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수면센터에서 검사받은 4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됐다.그 결과, 연구팀은 스마트폰으로 녹음한 소리 데이터를 가공하는 최적의 설정을 찾아내며 정확도 82% 수준의 알고리즘을 고안했다. 특히, 스마트폰 내장 마이크는 대부분 ‘적응형 잡음제거(adaptive noise cancellation)’로 소리 데이터의 특징적 요소를 추출하기 때문에 수면 중 호흡음 녹음에 적합하다고 밝혔다.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술이 고도화된다면 표준수면다원검사에 준하는 수면무호흡증 진단 검사를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받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추가적인 장비 없이도 자신의 수면환경에서 수면 패턴과 증상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환자가 일정기간 동안 녹음한 수면 중 호흡음을 기초자료로 활용해 표준수면다원검사 결과와 종합적으로 분석한다면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더욱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논문 제1 저자 조성우 교수는 “수면무호흡증은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 심뇌혈관 합병증의 위험이 높아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한 질환”이라며, “과거에 비해 수면다원검사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비용이나 시간 부담으로 정확한 진단을 받지 못하는 환자들이 많았는데, 이번 진단 기술의 개발을 통해 질환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이어 교신저자 김정훈 교수는 “본 기술은 수면무호흡증을 조기에 진단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향후 근본적인 치료를 위한 체중감량, 금주, 금연, 규칙적 운동과 수면위생 등 생활습관 개선을 실천하며 환자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치료 방향을 설정하는 방식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한편, 이번에 발표된 연구 결과는 최근 세계적인 학술지 ‘미국의학협회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지(JAMA Otolaryngology Head & Neck Surgery)’에 게재됐다.
2022-05-25 09:55:17
국내 의료진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구강암 진단 모델을 개발했다. 김철호 아주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와 허재성 방사선종양학과 교수는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셋 사업의 일환으로 구축한 12,400장의 구강내시경 이미지를 이용해, 구강암을 진단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구강암은 우리나라 전체 암 발생 10위지만 삶의 질을 크게 좌우하는 먹고 말하는데 필요한 혀, 볼 점막, 잇몸, 입술, 턱뼈 등에 생기며, 진행성 병기에 발견될 경우 치료를 하더라도 심각한 합병증 및 후유증이 발생해 치료 예후가 나쁜 매우 까다로운 암 중 하나로 손꼽힌다.구강암의 진단은 비교적 간편하고 적은 비용의 구강내시경 검사를 통해 가능하지만, 내시경검사결과를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는 두경부암 전문의가 부족하다.이에 이번 진단 모델의 정상-암 분류 성능 지표(AUROC)와 진단 정확도가 내부 검증 데이터의 경우 각각 96.0%, 91.0%였으며, 외부 검증 데이터의 경우 89.5%, 83.0%로, 이번에 개발된 인공지능 모델은 구강암에 대한 일반화된 패턴을 도출하여 높은 진단 성능을 보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정상-암 분류 성능 지표는 구강내시경 이미지를 보고 암과 정상을 얼마나 정확하게 구별하는지 평가하는 지표다.또 최근 인공지능 분야에서 문제 제기되고 있는 데이터의 질에 대해 공신력 있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로부터 검증을 받았다.연구팀은 정확도와 실제 임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 인공지능 모델 △ 일반의(의사) △ 두경부암 전문의 총 3개 그룹으로 나눠, 암 진단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민감도가 각각 81.1%, 77.3%, 91.7%였으며, 정확도는 84.7%, 75.9%, 91.2%로 두경부암 전문의, 인공지능 모델, 일반의(의사) 순으로 정확하게 구강암을 진단했다.이에 이번 인공지능 진단 모델이 1차 의료기관의 구강암 진단 및 스크리닝을 높일 수 있는 보조도구로 사용 가능함을 입증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김철호 교수는 “구강암 환자의 경우 통증이 심해지기 전까지 병원을 방문하지 않아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치료시기를 놓칠 경우 치료예후가 매우 불량한 구강암의 조기 진단을 위해 이번에 개발한 인공지능 모델을 탑재한 구강암 진단 및 관리 플랫폼 개발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허재성 교수는 ”구강내시경 이미지는 기존의 CT, MRI 등의 표준화된 이미지와 달리 비정형성을 가지고 있어 인공지능 모델 개발이 어려웠으나, 데이터 전처리 과정에서 표준화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등 양질의 데이터 구축을 통해 실용화·상용화가 가능한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했다“라고 말했다.한편 이번 연구는 2022년 4월 국제학술지 Scientific reports에 ‘Deep learning model for tongue cancer diagnosis using endoscopic images(내시경 영상을 이용한 설암 진단을 위한 딥러닝 모델)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2022-05-25 09:14:09
초등학생 자녀를 둔 강 씨는 얼마 전 아이들과 리조트 내 워터파크를 찾았다. 때마침 초여름에 가까운 날씨와 거리두기 수칙도 완화되면서 실내외 풀장을 자유롭게 오가며 때 이른 물놀이를 맘껏 즐겼다. 그러나 일주일 뒤 아이가 귀통증을 호소해 병원을 찾았고 ‘외이도염’ 진단을 받았다. 아이가 귀 안이 가렵다고 긁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한 게 염증을 악화시킨 원인이었다. 외이도염은 소아에서 청소년, 청년, 장년, 노년에 이르기까지 전 연령층에서 발생한다. 더운 기후와 높은 습도가 있는 환경에서 발생하기에 주로 여름철에 주의가 필요했다. 하지만 이제는 여름뿐만 아니라 호텔, 리조트 등에서도 때 이른 물놀이를 즐기게 되면서 특정 계절과 상관없이 주의해야 할 질환이다. 안용휘 노원을지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간혹 귀통증을 간과하고 방치하는 경우가 있는데 외이도가 심하게 붓거나 염증 찌꺼기로 막히게 되면 이충만감과 난청이 발생할 수도 있다”며 “특히 당뇨가 있는 70세 이상 고령자들은 귀지를 면봉으로 닦다가 상처가 생기면 피부에 녹농균이 들어가서 발생하는 악성 외이도염을 일으킬 수 있다. 상처가 잘 아물지 않고 염증이 심해지면 뇌 기저부 골수염과 뇌졸중으로 사망에 이르기도 하는 치명적인 질환”이라며 주의를 당부했다. 면봉 사용 피하고, 드라이기 약한 바람으로 건조외이도염은 귓바퀴에서 고막에 이르는 통로인 외이도에 염증이 생긴 것으로 세균이나 진균에 의한 감염이 원인이다. 주된 증상은 귀통증과 가려움증이다. 특히 수영 후 잘 생겨 외이도염을 수영인의 귀(swimmer's ear)라고 부르기도 한다. 물놀이할 때 또는 평소 외이도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면봉으로 외이도를 닦지 않는 것. 귀에 물이 들어갔다고 해서, 귀가 가렵다고 해서 면봉으로 귀 안을 후비는 행동은 외이도 피부를 약하게 해 외이도염이 잘 생기는 환경을 만들기 때문이다. 예방을 위해서는 소량의 물기는 자연적으로 증발하여 건조되도록 그대로 놔두는 것이 가장 좋다. 당장 큰 물기가 들어가서 귀가 답답하다면, 물이 들어간 쪽의 귀를 바닥 방향으로 젖힌 후 털어주거나 콩콩 뛰어주는 방법도 있다. 뜨겁지 않고 세기가 약한 드라이기나 선풍기 바람으로 귓속을 말리는 것도 바람직하다. 항생제로 염증 치료, 산성 용액으로 산도 되찾아야외이도염은 간단한 문진과 이경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단순 외이도염이라면 치료제를 통해 통증을 조절하고 외이도를 청결히 하는 게 첫 번째다. 이를 위해 항생제가 함유된 귀 안에 넣는 물약 또는 염증을 가라앉히기 위해 스테로이드가 섞인 이용액을 사용한다.두 번째는 외이도에서 분비물과 피부 괴사물 등을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산성 용액으로 세척, 외이도 산도를 되찾아주는 치료법이다. 정상적인 외이도는 pH 6.0 정도의 산성 보호막이 있어 균 증식을 억제한다. 동시에 외이도 피부는 지속적인 탈피와 귀지의 움직임으로 자연 세척이 이뤄진다. 그러나 수영장 물, 면봉 사용으로 외이도 산도가 변화되면서 염증 방어 기능을 깨트리기 때문에 산도를 되찾는 과정이 필요하다. 대부분 3~7일 이내로 호전되고, 염증이 외이도를 벗어난 것으로 의심된다면 뇌 기저부 골수염 감별을 위해 방사선 검사가 필요하다. 안용휘 교수는 “외이도염이 수개월 이상 지속하며 만성으로 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급성 외이도염은 주로 세균이나 진균에 의해 발생하지만, 만성 외이도염은 접촉성 알레르기나 이용액에 대한 감작, 지루성 피부염, 건선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평소 알레르기나 피부 질환자들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22-05-24 15:12:11
남성호르몬 수치가 낮을수록 빈혈 위험성이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준호 노원을지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팀(유탁근, 강정윤, 최재덕, 정혁달 교수)은 건강검진을 받은 40~50대 남성 8,727명을 대상으로 빈혈과 남성호르몬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했다.그 결과 남성호르몬 수치가 3.5ng/mL 이하인 갱년기 중년 남성 중 혈색소 13g/dL 이하빈혈 환자는 3.0%인데 비해, 남성호르몬 수치가 3.5ng/mL 이상인 정상 남성 중 빈혈 환자는 1.2%에 그쳤다. 갱년기 중년 남성이 정상 남성보다 빈혈 위험성이 2.4배 높았다. 이준호 교수는 ”이번 연구는 대규모 환자군을 대상으로 혈색소 13g/dL 이하 병적인 상태의 빈혈과 남성 갱년기 간의 상관관계를 처음으로 밝혀낸 의미 있는 연구“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남성호르몬이 골수에 작용하여 조혈작용이 있다는 동물실험 수준의 기전 연구와 남성호르몬이 낮으면 혈색소가 낮아진다는 임상 연구는 있었으나, 대부분 혈색소 13g/dL 이상의 정상범위에 속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그쳐 임상적 의미가 낮았다. 이준호 교수는 ”중년 갱년기 남성에게서 빈혈 위험성이 높다는 것이 밝혀진 만큼 빈혈에 대한 선별검사가 중요해졌다. 평소 건강에 이상이 없는데도 혈색소 수치가 13g/dL 이하인 빈혈 진단을 받았다면 남성호르몬 측정을 통해 남성 갱년기 여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이번 논문은 SCI 국제학술지인 American Journal of Human Biology 2022년 4월호에 게재됐다.남성호르몬 평균 수치는 4~6ng/mL이다. 3.5ng/mL 이하면 남성호르몬 수치가 병적으로 낮은 것으로 간주하고, 유증상 시 남성 갱년기로 진단한다. 특히 40~50대부터 주로 나타나고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는 추세다. 남성 갱년기 증상으로는 성욕 및 성 기능이 감소하고, 근육감소, 비만, 치매, 심혈관 질환 및 당뇨 위험성도 높아진다. 따라서 남성호르몬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져 있고 증상이 있다면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이 필요하다. 남성호르몬 저하를 예방하려면 적절한 몸무게를 유지하고, 운동을 병행해야 한다. 특히 남성호르몬은 새벽에 분비되기 때문에 숙면하는 것도 중요하다. 생활습관 개선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이 필요하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바르는 제제, 코에 뿌리는 제제, 주사제 등 맞춤 치료가 이뤄진다.
2022-05-24 10:49:18
간암이 재발한 경우에도 복강경 수술을 적극적으로 고려해 볼 만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기존에는 앞서 치료에 따른 결과로 간의 모양 변형이나 주변 협착이 발생하기 쉬운 탓에 환자 안전을 고려해 개복 수술을 하는 게 일반적이었다. 복강경 수술을 하더라도 수술 경험이 풍부한 간담췌외과 의사들이 환자 상태를 신중히 평가한 뒤 조심스럽게 시도해왔다.삼성서울병원(원장 박승우) 암병원 간암센터 이식외과팀은 재발 간암의 크기가 3cm이하고, 최초 발병 부위와 반대편에서 재발한 경우 첫 수술이 개복 수술이어도 복강경 수술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간암센터 이식외과 전문의 4명이 지난 2017년부터 2019년 사이 간암이 재발해 수술이 필요했던 환자 50명을 분석해 나온 결과다.이번 연구는 외과 수술 분야 국제 학술지 최근호에 게재됐다.연구팀은 환자들을 복강경 수술 환자(25명)와 개복 수술 환자(25명)으로 나누고 환자들의 특징과 더불어 예후를 역확률 치료가중치(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ing, IPTW)를 적용해 비교 분석했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1세 전후로, 암의 병기나 미세혈관 침윤 정도, 간문맥 침윤 정도, 간경변 정도와 같이 수술 결과에 영향을 줄 만한 요소들의 차이는 서로 없었다. 다만 개복 수술을 받은 환자의 암 크기(1.9cm)가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1.5cm)보다 상대적으로 컸던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와 개복 수술을 받은 환자의 전체 생존율을 3년여에 걸쳐 추적한 결과 두 그룹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무진행 생존기간을 따로 분석했을 때에는 개복 수술 보다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의 성적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환자들의 평균 재원 일수도 복강경 수술이 평균 5.5일로 개복 수술 환자의 재원 기간(9.3일) 보다 짧았다. 그만큼 환자들의 수술 후 회복이 빠르다는 의미이다. 실제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지만 수술 시간도 복강경 수술이 평균 125분으로, 개복 수술(168분) 보다 40여분 가까이 덜 소요됐다. 수술 중 출혈 역시 복강경 수술은 140mL였던 데 반해 개복 수술은 212mL로 차이를 보였다.환자들의 수술을 집도했던 이식외과 연구팀은 복강경 수술이 적합한 환자로 재발한 간암의 크기가 3cm 이하이고, 최초 발병 부위의 반대편에 발병했을 경우 수술이 더욱 수월했다고 경험을 나누었다. 이번 연구 교신저자인 김종만 교수(이식외과)는 “연구 대상 환자 규모가 적어 추후 데이터를 더 쌓아 정교하게 대상군을 가려낼 필요가 있지만 어떤 환자에게 유리할 지 기준을 제시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서 “앞으로 술기를 더욱 고도화하여 더 많은 환자들이 더 적은 부담으로 재발한 간암도 복강경으로 수술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2-05-24 09:48:36
2018년 5월, 스위스 베른의 한 병원에서 호주 생태학자 데이비드 구달 박사가 의사 조력 자살을 통해 사망했다. 그는 의료진이 마련한 신경안정제가 들어 있는 주사액이 정맥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밸브를 스스로 열었다. 그리고 지난 3월에는 ‘세기의 미남’이라고 불리는 알랭 들롱이 안락사를 결정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국민의 76.3%가 안락사 혹은 의사 조력 자살 입법화에 찬성했다. 2025년 35만 명, 2040년 50만 명, 2050년 70만 명 등 향후 대한민국의 사망자가 점차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되는 상황에서 안락사의 입법화에 대한 입김 또한 거세질 전망이다.윤영호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2021년 3월부터 4월까지 19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안락사 혹은 의사 조력 자살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결과를 24일 밝혔다. 조사 결과, 찬성 비율이 76.3%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찬성의 이유로는 △남은 삶의 무의미(30.8%) △좋은(존엄한) 죽음에 대한 권리(26.0%) △고통의 경감(20.6%) △가족 고통과 부담(14.8%) △의료비 및 돌봄으로 인한 사회적 부담(4.6%) △인권보호에 위배되지 않음(3.1%) 등이 있었다.반대 이유로는 △생명존중(44.4%)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자기결정권 침해(15.6%) △악용과 남용의 위험(13.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윤영호 교수팀은 지난 2008년과 2016년에도 안락사 혹은 의사 조력 자살에 대한 국민들의 태도를 조사한 바 있다. 당시 약 50% 정도의 국민들이 안락사와 의사 조력 자살에 대해 찬성한 데 비해 이번 연구에서는 약 1.5배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한편, 안락사 도입을 논의하기에 앞서 환자들이 ‘안락사를 원하게 되는 상황’을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안락사를 원하는 상황은 크게 △신체적 고통 △정신적 우울감 △사회·경제적 부담 △남아있는 삶의 무의미함으로 나눠진다.이러한 분류는 안락사의 입법화 논의 이전에 환자의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줄여주는 의학적 조치 혹은 의료비 지원, 그리고 남은 삶을 의미 있게 만들어주는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또한 ‘광의(廣義)의 웰다잉’을 위한 체계와 전문성에 대한 법제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약 85.9%가 찬성했다. 광의의 웰다잉은 협의(俠義)의 웰다잉(호스피스 및 연명의료 결정)을 넘어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해 호스피스 및 연명의료 결정 확대와 함께 독거노인 공동 부양, 성년 후견인, 장기 기증, 유산 기부, 인생노트 작성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광의의 웰다잉이 ‘안락사 혹은 의사 조력 자살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도 약 85.3%가 동의했다. 윤영호 가정의학과 교수는 “현재 우리나라는 호스피스 및 사회복지 제도가 미비할 뿐만 아니라 광의의 웰다잉마저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한 상황”이라며 “남은 삶을 의미 있게 만들어주는 광의의 웰다잉이 제도적으로 선행되지 못한다면 안락사 혹은 의사 조력 자살에 대한 요구가 자연스러운 흐름 없이 급격하게 거세질 가능성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진정한 생명 존중의 의미로 안락사가 논의되려면 환자들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경제적, 존재적 고통의 해소’라는 선행조건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웰다잉 문화 조성 및 제도화를 위한 기금과 재단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국제 환경연구 보건학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최근호에 게재됐다.
2022-05-24 09:04:44